본문 바로가기

상담 & 코칭

청소년 비행이론 청소년 비행이론에는 아노미이론, 차별접촉이론, 낙인이론, 사회통제이론의 네 가지가 있다. 아노미란 프랑스의 사회학자인 뒤르껭이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인데, 사회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집단규범이 모호해져 초래된 '무규범상태'를 일컫는 말이다. 아노미에 빠지면 어떤 안정된 제도에도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정신적으로 불안한 상태에 놓여 수동적인 행동을 하거나, 극단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아노미 상태에서는 도덕적인 판단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사회이상 행동자가 되기도 한다. 아노미이론은 머튼(R. K. Merton)의 사회구조이론에 근거를 둔 것이다. 사회적으로 중요시되는 가치를 누구나 획득하고 싶어 하는데, 사회구조상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위에 속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목표를 추구할 기회가 더 많고 하위 집.. 더보기
무시증후군(Neglect Syndrome) The neglect syndrome is a constellation of related lateralized deficits, including neglect of sensory stimuli; extinction of awareness of one sensory stimulus by another when both are delivered simultaneously; neglect of one half of an object or of space (recognizing that different reference points for “left” exist in this context); neglect of part of a person’s own body; failure to move a (nonp.. 더보기
HTP 검사 (House-Tree-Person Test) 머릿속에 떠오르는 집·나무·사람의 모습을 자유롭게 그려보는 ‘HTP 검사 (House-Tree-Person Test)` 더보기
로샤 검사 Rorschach Test(로샤 테스트) 실시시간: 15분 1921년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인 H. Rorschach에 의해 창안되었다. 애매한 잉크반점이 그려진 10 장의 카드를 제시하여 자극을 지각하는 방식을 통해 개인이 경험하고 있는 문제의 정도와 심각성 을 평가하고 성격을 평가하는 검사이며, 자신이 경험하나 느끼지 못하는 부분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하는 검사 더보기
라자루스의 BASIC-ID 핵심개념, 라자루스의 다중양식치료법 리프탁(Liptak)이 제시한 자발적 실직 경험한 내담자에게서 나타나는 5가지 비합리적 신념 1) 직업 구하기 위해 완전한 직업탐구 이루어져야 한다. 2) 직업탐구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아 직업탐색 습득 필요 없다. 3) 진로 상담자가 전문가이기 때문에 내담자에게 직업 찾아 줄 거라는 신념 4) 면접 후 거절은 재앙과 같다. 5) 직업탐색 몰두하고 신경 써야 한다는 신념 라자루스(Lazarus)가 개발한 다중 양식 치료의 핵심 개념 BASIC-ID -인지 행동 치료기법- -라자루스가 개발한 다중 양식 치료의 핵심 BASIC-ID를 설명하시오- 1) 개요 ①여러 특수치료법을 동원해야 한다. ② 상담자는 내담자 특수 문제 평가에 적절한 치료법 적용 2) BASIC-ID 확인(핵심 개념) ① 다중 양식 치료는 .. 더보기
리겔 형식적 조작기 리겔은 형식적 조작기에 도달해서 인지발달이 완성된다는 피아제의 주장에 반론을 제기하였으며, 성인기 특유의 사고 특징인 변증법적 추론을 주장한 학자다. 성인기 인지능력의 발달 I. 인지발달의 제5단계 피아제는 출생부터 청소년기까지 질적으로 다른 네 개의 인지발달단계를 가정하고 11세경에 형식적 조작능력을 획득하면 인간이 지닐 수 있는 최상의 인지능력을 획득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의 연구자들은 성인기 동안에도 인지발달이 이루어진다고 강조하고 피아제의 견해를 성인기까지 확대시켜 인지발달의 제5단계를 가정하였다. 1) 리겔의 변증법적 조작 웹스터 사전에 의하면 변증법(dialectics)이란 정, 반, 합의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 자기발전이나 전게의 과정으로 정의된다(행동이나, 사건, 생각,.. 더보기
아들러 개인심리이론 아들러는 한 개인을 나누어질 수 없는 전체이며 목표달성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존재로 보면서 개인심리학을 개발하였다. 아들러는 인간을 목적론적 존재로 보면서 인간으로서 누구나 느끼는 열등감으 극복하여 자기완성을 이룰 것을 강조하였다. 개인심리이론에서는 인간을 전체적 존재, 사회적 존재, 목표지향적이고 창조적인 존재, 주관적 존재로 보았다. 아들러는 인간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인간은 단지 열등감의 해소만을 추구하는가 등의 질문에 대해 공격성 힘에 대한 의지 우울성 추구등의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주요개념은 열등감, 우월성의 추구, 생활양식, 가족국도, 출생순위 등이 있다. 첫째 아이 (폐위된 왕, 군위의 중요성을 알고 동정적 과거에 관심많음)/ 둘째(경쟁, 달리는 꿈)/막내((과잉보호가능성, .. 더보기
행동주의 인지주의 사회학습이론 주요 관심사 행동주의-자극과 반응의 연합 인지주의-지각, 문제 해결, 추론의 발달 사회학습이론-관찰을 통한 학습 사회인지이론-사회인지이론은 환경적 사건들, 사고와 동기 같은 개인적 요인 인지신경과학-뇌의 구조 및 활동과 학습과정의 관련성 더보기
해결중심 집단상담 심리적 장애나 역기능적 행동보다는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문제대화보다는 해결대화에 참여하도록 독려하며 집단원의 강점, 자원, 성공경험을 활용한다. 상담자는 알지 못함의 자세를 취한다. 변화에 대한 초이론 모델은 다양한 심리치료는 몇 가지의 기법과 변화과정으로 한 두 단계의 변화를 유도하는 데 유용하다. 더보기
브론펜브레너 생태체계이론 인간은 사고나 감정, 행동을 가진 생물학적, 심리학적, 영적, 사회적, 문화적 존재로보고 인간이 주변 환경을 구성할 뿐만 아니라 그 환경에 영향을 받는 상호 교환적인 존재라고 본다. 즉, 생태체계이론의 인관관은 환경속의 인간이자 전체적 인간관을 가지고 있다. 이 관점은 인간에 대해 낙관론적인 시각으로 인간과 환경은 꾸준하고 지속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며 서로를 형성한다고 본다. 브론펜브러는 이러한 생태체계이론을 4가지로 구분하였다. 1. 미시 체계 인간 개인에게 가장 근접한 위치에있는 환경이다. 가족, 학교, 주변인물 등의 물리적인 환경이나 사회적 환경 그리고 해당 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인간의 지위나 역할, 활동, 대인 관계등을 의미한다. 2. 중간 체계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미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