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nsPaa/btqFBLhAw10/eNyOOhSk2hUWRtFzI8f39K/img.png)
REBT에서 ‘ABC 이론’으로 알려져 있는 ABCDEF는 상담과정에서도 중요한 치료절차로 이용되는데, 이는 선행사건(A) → 신념(B) → 결과(C) → 논박(D) → 효과(E) → 감정(F)을 나타낸다. 즉, 인간의 불안이나 우울, 열등감, 시기, 질투 등의 정서적 반응(consequence: C)은 주로 개인의 신념체계(belief system: B)에 따라 발생한다.
이는 바람직하지 못한 정서적 반응의 원인이 어떤 사건의 발생(activating events: A) 때문이 아니라 그 사건에 대해 가지는 자신의 비합리적 신념(irrational belief: B) 때문이며, 그 혼란된 정서는 합리적 신념에 의해 효과적으로 논박(dispute: D)될 때 사라진다.
이러한 논박의 결과로 새로운 철학이나 새로운 인지체계를 가져오는 효과(effects: E)와 그에 따른 감정(feeling: F)을 갖게 된다.
상담현장에서 최초로 소개된 인지행동치료는 인지정서행동치료(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REBT)
입니다 (Ellis, 1957).
인지정서행동치료의 핵심은 인간의 행동과 정서는 사고의 결과라는 개념입니다.
Dryden과 Ellis(2001)는 상담자들이 내담자가 겪게 되는 여러 가지 정서적 · 행동적 어려움을 유도하는
비합리적 생각의 패턴을 찾고 이를 스스로 바꾸는 방법을 배움으로써 내담자에게 다양한 유형의 문제적 상황을
다룰 수 있는 힘을 길러 준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Ellis는 이 이론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 인간은 사물에 의해 방해를 받는 것이 아니라 그 사물을 바라보는 견해에 의해서 방해를 받는다." 고 주장하는 에픽테투스와 같은 철학자의 가르침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고백합니다 (Wallen et al., 1992).
Ellis 이론의 핵심은 ABCDE 모델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겪는 정서적 · 행동적 어려움의 본질은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그들의 목적 달성과 관계가 있는 어떤
활성화된 선행사건(A)을 맞닥뜨린다는 것을 깨달음으로써 설명될 수 있습니다.
선행사건은 과거, 현재, 미래 지향적이며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현실 그 자체나 지각된 사건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개인의 독특한 사고와 정서에 영향을 받습니다.
대부분의 내담자들은 선행사건에 자신들이 겪는 여러 가지 정서적, 행동적 어려움의 원인이라고 굳게 믿으면서
상담실에 옵니다(A → C).
사람들은 대체로 어떤 선행사건이 정서적, 행동적 반응을 유도한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REBT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신의 정서적, 행동적 결과(C)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사건에 관한
생각이나 신념(B)이 있습니다.
선행사건(A)이 심각하게 결과(C)에 영향을 미친다고 해도 A에 관한 신념(B)이 실제로 C를 유도하고
선행사건보다 더 쉽게 변화됩니다.
그래서 A→ C 대신에 REBT 이론에서는 A에 관한 B가 C를 유도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A와 B와 C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대개는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대신에
서로에게 영향을 받습니다.
이는 인간은 세상의 어떤 것도 자신의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없으나 자신의 주관적 생각은 얼마든지 자신의 의지대로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박경애(2013).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중에서 -
'상담 & 코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빈슨, 인생의 계절론 (0) | 2020.07.16 |
---|---|
인지행동치료(CBT) (0) | 2020.07.12 |
에빙하우스 망각곡선 (0) | 2020.07.07 |
양극성 장애 (0) | 2020.07.06 |
알버트 아기 실험 (0) | 2020.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