⑵ 인지 기능
① 조절 : 기존의 스키마 변화
② 동화 : 새로운 것을 내 것으로 만드는 것
③ 평형 : 동화와 조절이 균형을 이루는 것
조작 이전의 차원 : ① 감각(운동)기
↗ 이해 × → ② 전조작기 : 과정 이해 불가(비가역적 사고)
조작 → 이해 ○ → ③ 구체적 조작기 : 눈에 보여야 알게됨
↘ ④ 형식적 조작기 : 언어적 설명으로 가능
● Case의 신피아제 이론
1) 아동 : 문제해결가
2) 문제해결의 메카니즘
⑴ 실행제어 구조 : 문제 해결 과정
⑵ 작동기억 : 문제 해결 도구
① 조작공간
② 저장공간 →(大) 자동화
(小) 통제화
● Vygotsky 인지 발달
(1) 근접 발달 대(ZPD)
(2) 근접발달과 교육
① 개념의 중요성 : 사회적 상호작용
② 비계법 : 아동이 필요로 하는 범위 내에서 힌트나 다른 도움 제공
(3) 언어발달과 사고 발달
● Pavlov의 고전적 조건화(Conditioning)
⑴ 조건화 단계
① 고기(무조적 자극) → 침(무조건 반응)
② 종(중성 자극) + 고기 → 침(무조건 반응) ⇐ 반복
③ 종(조건 자극) → 침(조건 반응)
⑵ 조건형성의 주요 원리
① 종 → 침[○] (조건화)
② 북 → 침[○] (자극의 일반화)
③ 북 → 침[×] (자극의 변별/식별)
④ 북 → 침[△] (자극의 제지)
⑤ (조건화 일정 기간 후) 종 → 침[×] (조건화의 소거)
⇓ (소거 일정 기간 후)
종 → 침[△] (자발적 회복)
⑥ 조건화의 소거 방지를 위해 가끔 먹이 줌(간헐적 강화)
⑦ 종 →침(조건화)
북 + 종 → 침
북 → 침(고차적 조건화)
⑶ 고전적 조건화 원리
① 일관성의 원리 : 조건자극은 일관적
② 계속성의 원리 : 반복(연습의 법칙)
③ 강도의 원리 : 조건자극이 무조건자극보다 강해야
④ 시간의 원리 : 조건자극이 무조건자극보다 앞서가나 동시에
● Skinner의 작동적 조건화(Conditioning)
⑴ 작동적 조건 실험
⑵ 학습의 의미
⑶ 강화와 벌
구 분 |
자극의 성질 | ||
유쾌 자극 |
불쾌 자극 | ||
자극 제시 방식 |
반응 후 자극 제시 |
정적 강화 (목적:반응 확률 증가) 공부를 열심히 할 때 칭찬한다. |
적극적 벌 (목적:반응 확률 감소) 지각했을 때 꾸중한다. |
반응 후 자극 제거 |
소극적 벌 (목적:반응 확률 감소) 지각할 때 자유시간을 박탈한다. |
부적 강화 (목적:반응 확률 증가) 공부를 열심히 할 때 잔소리를 하지 않는다. |
(4)실용적 의미(행동 수정 기법)
① 행동계약 : 2시간씩 운동하면 천원
② 프리맥 원리 : 2시간 공부하면 컴퓨터 오락 승낙
③ 토큰 강화 : 2시간 공부하면 도토리 2개
④ 심적 포화 : 실증 날 때까지 계속
⑤ 부적 연습 : 없애고 싶은 것을 의식하면서
⑥ 타임 아웃 : 잠시 열외 시키는 것
⑦ 상반 행동 강화 : 반대되는 행동 강화
⑧ 혐오 치료 : 혐오스러운 자극과 함께 제시
⑨ 차별 강화 : 여러 행동 중 하나 만 골라 강화
⑩ 용암법 : 특정행동에 강한 도움 주고, 차츰 줄여서 스스로 하게끔
● 정보처리 이론
(1) 정보처리 이론(Information Process Theory) 모델
(2) 자극의 부호화 의미 : 자극을 변형시켜 나중에 쉽게 회상될 수 있도록 형태를 바꾸는 것
① 조직화 : 위계화 시키는
② 정교화 : 새로운 정보를 이미 아는 것과 관련시키는 것(정보망과 거미줄의 관계)
(3) 이중 부호화
① 의미 : 두 개(예: 언어와 영상)의 정보로 처리된 것이 하나로 처리된 정보보다 더 잘 회상된다는 것
② 예 : 멀티미디어가 더 효과적
(4) 인지 부조화
① 의미 : 하나의 인지가 다른 인지와 상충될 때
② 예 : 우리나라 옛날 신혼 첫날 밤
③ 해결책 :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하기 위해 자신의 태도를 바꾼다.
(5) 자극 지각 이론
① 의미 : 자신의 행동을 통해 자신의 태도를 바꾼다.
② 예 : 과일 바구니에서 오렌지를 고른 사람
(6) 부호화 특수성
① 의미 : 자신이 학습한 상황과 유사한 상황하에서 수행을 더 잘한다.
② 예 :
7장. 생활지도와 상담 |
● 상담이론의 분류
구분 |
내용 |
인지적 상담이론 |
Williamson의 이성적 상담이론, Ellis의 합리적 정의 상담, Kelly의 개인 구념이론, Beck의 인지상담이론 |
정의적 상담이론 |
Rogers의 인간 중심적 상담, Freud의 정신분석학, 실존주의 상담, Adler의 개인심리상담, Berne의 의사거래 분석, Perls의 게슈탈트 상담 |
행동적 상담이론 |
행동주의적 상담, Wőlpe의 상호제지이론 |
기타상담이론 |
Jones의 절충적 상담, Glasser의 현실치료적 접근, 집단 상담, 가족 치료 |
● Williamson의 이성적 상담
⑴ 인간관 : 선악의 잠재력을 모두 가지고 있다.
⑵ 부적응 원인 : 선택에서 무엇을 결정할지 몰라서
⑶ 상담 목표 : 합리적 선택하도록 도움
⑷ 상담 과정 : 분석(검사) ⇒ 종합(종합) ⇒ 진단(진단) ⇒ 예진(치료 결정) ⇒ 상담(치료) ⇒ 추수지도(추후 결과 관찰)
⑸ 특징
① 상담의 결과(문제해결 장면) 강조
② 결정권은 내담자(학습자)
● Kelly의 개인 구념 이론
⑴ 인간관 : 모든 것을 나름대로 해석한다.
⑵ 부적응 원인 : 타당하지 못한 개념 구성체
⑶ 상담 목표 : 개인 구념을 재구성
⑷ 상담 기술 : 역지사지
① 역할 실행 : 타인의 역할 해보기
② 고정 역할 치료 : 장기간의 역할 실행
③ 고정 역할 묘사 : 피험자가 자신의 역할을 객관적으로 묘사
⑸ 특징 : 국제문제까지 해결 가능
● Beck의 인지 상담 이론
⑴ 인간관 : 사건을 인지하여 해석
⑵ 부적응 원인 : 비현실적이고 왜곡된 사고
⑶ 상담 목표 : 우울증이나 정서장애 해결
⑷ 문제 발생과 상담 과정
사건 발생 |
|
|
⇓ |
|
|
인지적 왜곡 (by 비합리적 신념) |
|
|
⇓ |
⇐해결책 |
① 인지적 기법 : 인지적 왜곡과 자동적 사고의 단절 ② 행동적 기법 : time-schedule |
인지적 왜곡의 자동적 사고 |
|
|
⇓ |
|
|
우울증 |
|
|
⑸ 특징
① 지속적인 인지적 왜곡(Ellis는 단순한 상념)
② 정보처리 이론에 근거
● Rogers의 비지시적 상담
⑴ 인간관 : 자아실현 가능성(계속 성장의 가능성) 소유
⑵ 부적응 원인 : 현실적 경험과 자아이상과의 괴리
⑶ 상담 목표 : 자아실현을 돕는 것
⑷ 상담 기술
① (1st)진실성 : 내담자의 것에 진실 되게 반응
② (2nd)무조건적 긍정적 관심 : 내담자의 모든 면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③ (3rd)정확한 공감적 이해 : 감정이입
⑸ 특징
① 결과보다 과정 중시
② 성장의 과정 중시
● Frued의 정신 분석적 접근
⑴ 인간관 : 비합리적(id), 결정적(과거 경험)
⑵ 부적응 원인 : 자아의 기능 약화와 욕구 불충족
⑶ 상담 목표 : 행동의 원인을 찾아 자아기능 강화
⑷ 상담 기술
① 자유연상 : 최면
② 꿈의 분석 : 과거 경험과 관련된 꿈의 해석
③ 전이 분석 : 억압된 감정을 표현 가능한 대상에게 표현
④ 저항의 분석 : 반대되는 행동을 하는 것
⑤ 해석 : 피험자의 행동을 추리
● 실존주의적 접근
⑴ 인간관 : 주체성 강조
⑵ 부적응 원인 : 삶의 의지 결여
⑶ 상담 목표 : 자기 각성과 실현
⑷ 상담 기술
① 의미 요법 : 삶의 의미 자각
② 현존 분석 : 존재의 의미 분석
③ 역설적 의도 : 기대불안을 적극적으로 해결
④ 역반영 : 과도한 주의를 자신의 밖으로 돌리기
● Adler의 개인심리학적 접근
⑴ 인간관 : 인간의 모든 행동은 사회적 맥락에서 형성
⑵ 부적응 원인 : 애정과 소속감의 결여
⑶ 상담 목표 : 자신감과 사회적 관심 획득
⑷ 상담 과정 :
가정에서의 사랑 결핍 |
⇐해결책 |
① 가정에서의 사랑 ② 가족 치료 필요 |
⇓ |
|
|
열등감 |
|
|
⇓ |
|
|
공격적 행동 |
|
|
⑸ 특징
① 가족 치료 필요
② 가족 상담, 교사와 부모 교육에 활용
● Berne의 의사거래 분석적 접근
⑴ 인간관 : 인간 스스로 결정 가능
⑵ 부적응 원인 : 부적절하게 결정된 생활자세
⑶ 상담 목표 : 자율성(자타긍정) 획득 - 어른자아의 강화
⑷ 상담 기술
① 상보적 의사거래 분석 : 바람직한 인간관계
② 교차적 의사거래 분석 : 바람직하지 못한 인간관계
③ 저의교류 분석 : 위장된 의사소통
④ 게임분석 : 순서에 따른 숨겨진 교류분석
● Perls의 형태주의(Gestalt) 상담
⑴ 인간관 :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 환경을 떠나서는 이해할 수 없다.
⑵ 부적응 원인 : 자아와 유기체가 경험하는 세계화의 불일치
⑶ 상담 목표 : 스스로 선택(책임)의 문제와 각성
⑷ 상담 과정 : 자기각성 및 환경접촉 각성 강조
⑸ 특징
① 교실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데 적절
② 지금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 중시(Glasser-스스로의 책임 문제)
● 행동주의적 접근
⑴ 인간관 : 백지설(환경에 의해 결정)
⑵ 부적응 원인 : 잘못된 환경의 설정
⑶ 상담 목표 : 바람직하지 못한 것 소거, 바람직한 행동 학습
⑷ 상담 기술 : 강화, 조형, 모방 혐오치료법 등
⑸ 특징
① 행동주의 심리학(특히 Skinner)과 동일
② Bandura의 사회학습론도 행동주의적 접근
'상담 & 코칭' 카테고리의 다른 글
Ryan & Deci 자기결정성 이론이 가정하는 욕구 (0) | 2019.03.15 |
---|---|
웰페의 상호제지 이론 (0) | 2019.03.15 |
메타인지(meta-recognition) 전략 (0) | 2019.03.15 |
톨만(E. Tolmal) 인지주의 학습이론 행동주의 학습이론 (0) | 2019.03.15 |
프로이트 정신분석 (0) | 2019.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