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사랑으로 시작하는 미래

우리나라의 미래를 좌우할 저출산 문제가 국가의 최대 과제로 대두되었다. 지금과 같은 저출산으로 인구가 계속 감소한다면 지구상에서 가장 먼저 사라질 나라가 바로 대한민국이다.

2022년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1인 가구 비중은 34.5%이고, 결혼하지 않겠다는 20-30대 미혼 여성이 절반을 차지했다. 자녀를 낳지 않겠다는 미혼 여성은 절반을 넘어 60%에 육박한다. 그 이유는 결혼 비용부터 주거와 자녀 교육, 그리고 경력단절까지 경제적인 면이 가장 큰데, 이 외에도 다양한 문제가 놓여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연애나 결혼에 관심이 없는 젊은 독신 남녀를 뜻하는 ‘초식남’, ‘건어물녀’들이 늘어나면서 점차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높아졌다. 과거에도 결혼에 대해 오해 아닌 오해가 가득한 작품이 있었으니 살펴보도록 하자.

결혼이라는 멍에 ‘16세기 이탈리아의 사진사’로 불리는 로렌초 로토(Lorenzo Lotto, 1480~1557)는 당시 사람들의 모습을 독창적으로 사진을 찍듯이 표현했다. 그의 작품 중 하나인 ‘마르실리오 카스티와 그의 신부 파우스티나’는 초상화로 조금 더 상세하게 뜯어보면 우의화(寓意畵)다.

로렌초 로토 ‘마르실리오 카스티와 그의 신부 파우스티나’ 1523년. 프라도미술관
신랑이 신부에게 결혼반지를 끼우기 직전의 순간을 표현했는데, 두 사람 모두 행복하다기보다 표정이 굳어 있는 게 부모님에게 떠밀려서 하는 정략결혼으로 보인다. 이 작품은 전체적으로 아직 앳된 얼굴의 신랑은 검은 옷을 입은 차분하고 성숙한 느낌을 주는 반면, 다부진 신부는 빨간색의 화려한 모습으로 콘트라스트를 형성해 독자의 시선을 빼앗고 있다.

이와 함께 에로스는 신랑의 오른쪽, 그리고 신부의 왼쪽 어깨에 막대를 씌우고 있는데, 이는 소가 달구지나 쟁기를 끌 때 목에 걸던 멍에(yoke)이다. 장난꾸러기 같은 표정을 한 에로스는 신혼부부에게 행복과 함께 서로에 대한 속박과 구속, 희생과 양보 또한 시작됨을 알리고 있다.

실제로 로마시대에는 아내가 남편에게 귀속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로 결혼반지를 꼈으며, 이는 사랑보다는 구속의 의미가 컸다. 이것은 당시 노예들이 주인으로부터 채워진 고리를 하고 있는 것과 비슷한 의미이다. 현대 사회에서 결혼은 반지 혹은 고리를 끼는 속박과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가 보다 부각되고 있다. 그런데 왜 결혼반지나 커플링을 넷째 손가락에 낄까?

로마시대에는 손가락의 정맥이랑 심장이 직접적으로 이어져 있다고 생각다. 그 중 넷째 손가락의 정맥이 심장과 가장 가깝다고 하여 이를 사랑의 정맥(vena amoris)이라 부르면서, 넷째 손가락에 결혼반지를 끼게 되었다는 가설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해부학적으로도 흥미로운 가설이 있다. 주먹을 쥔 상태에서 손가락을 하나씩 펴보면 다른 손가락들은 손쉽게 길게 펼 수 있지만, 넷째 손가락은 독립적으로 펴지지 않는다. 이어서 양손의 손가락을 하나씩 맞댄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과 다르게 넷째 손가락은 서로 멀리 떨어지지 않는다. 이는 넷째손가락만 손가락 마디를 펴는 근육이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처럼 커플 혹은 부부가 서로 떨어지지 않고 의지하고 함께 붙어 있자는 의미로 넷째 손가락에 반지를 끼며, 넷째 손가락을 링 핑거(ring finger)라고 부른다는 해부학적이고 로맨틱한 설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넷째 손가락을 약지(藥指)라고 부르는데 약물을 달일 때 이 손가락을 주로 사용한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결국 결혼과 반지는 서로에게 구속과 희생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의지할 수 있는 약(藥)이 되는 존재이다. 넷째 손가락을 펴기 위해 다른 손가락을 함께 펴듯이, 결혼 기피와 저출산을 해결하기 위한 종합적인 대책이 한마음 한뜻으로 마련되어야 하겠다.

고대 그리스에서 심장은 감정을 관장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심장으로 연결되는 혈관이 왼손 약지에 있다고 생각되어 마음과 직결되는 신성한 장소로 여겨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