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몬드 채집꾼 '라파엘 솔라노'는 육체적으로 녹초가 되어 실의에 빠졌다.
그는 마른 강바닥 위에 있는 둥근 돌에 걸터앉아 동료 두 명에게 말했다.
"나는 할 만큼 했어. 더 이상 계속해도 소용이 없어. 이 조약돌을 봐! 내가 집은
999,999개째야. 그런데도 지금까지 다이아몬드는 하나도 없었어. 만약 내가 다시
하나를 집으면 100만 개가 될 거야. 그러나 그게 무슨 소용이겠어? 그만 단념하겠어."
세 사람은 베네수엘라의 강줄기에서 다이아몬드를 찾는 데 여러 달을 보냈다.
그들은 하루도 쉬지 않고 열심히 일했다.
그리고 조약돌을 하나하나 집어보면서 다이아몬드를 찾고자 노력했다.
그들의 옷은 남루했고 모자는 갈기갈기 찢어졌으며 몰골은 말이 아니었다.
그때 솔라노가 외쳤다.
"나는 이제 그만 포기하겠어!"
이때 그들 중 한 친구가 무뚝뚝하게 말했다.
"다른 하나를 더 집어. 그러면 그것은 100만 개가 되는 거야."
"좋아!"
솔라노는 허리를 굽혀 한 조약돌에 손을 내밀어 집어 들었다. 그것은 달걀 크기만 했다.
"됐어! 마지막인 거야."
그런데 그 조약돌은 무거웠다. 그는 눈을 크게 뜨고 깜짝 놀라 소리쳤다.
"야! 다이아몬드다! 다이아몬드야!"
1942년 남아메리카 북부 베네수엘라에서 있었던 '해방자'라고 불린 다이아몬드에
관한 실화다.
그 다이아몬드는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크고 순수한 다이아몬드였으며, 뉴욕의
보석상에게 20억 달러(약 2조원)에 팔렸다고 한다.
성공과 실패의 차이는 잘못 시작한 데 있지 않고, 잘못 그만두는 데 있는 것이 아닐까?
장애물이 있는 것은 포기하라고 있는 것이 아니라 뛰어넘으라고 있는 것이라고 한다.
"승자는 절대 포기하지 않으며 포기하는 사람은 절대 이기지 못한다"고 전설적인
미식축구 감독 '빈스롬바르디'는 말했다.
한 번 뜻을 세웠으면 어떠한 어려움에도 굴하지 말고 끈기 있게 도전해야 한다.
달콤한 성공이라는 열매는 끈기의 댓가이다.
<< "포기하지마라" / 작자 미상>>
때로는 잘못 되더라도 그대가 터벅대며 걷는 길이 오르막이더라도
미소를 짓고 싶어도 한숨만 새어나오더라도
근심이 그대를 짓누르더라도
그래, 필요하다면 쉬어라, 하지만 포기하지는 마라.
우리 모두가 아는 것처럼
삶에는 우여곡절이 있는 법,
수많은 실패가 성공으로 바뀌지 않던가.
성공의 기운이 엿보이면 그 기운을 꼭 잡으라.
성공이 뒤늦게 찾아온다고 포기하지 마라.
어느 날 불어온 바람이 그대에게 성공을 안겨줄 테니까.
성공은 실패에서 태어나는 법, 의혹의 그림자가 은빛으로 물들더라도
그대는 성공이 가까웠다고 말할 수 없으리라.
저 멀리 있는 것처럼 보여도 가까이 있을 수 있을 테니까.
그대에게 커다란 시련이 닥치더라도 싸움을 포기하지 마라.
최악의 상태로 치닫더라도 절대 포기하지 마라.
고난과 시련은 있을지언정
절대 좌절하지 말고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견디고 또 견디다 보면 기회가 오기 마련이고, 비가 오고나면 더 화창해지는게
우리 인생살이가 아니던가?
'윈스턴 처칠'은 20세기의 가장 뛰어난 정치가 중의 한 사람입니다.
그런 그도 중학교때 3년이나 진학을 못했다고 한다.
영어에 늘 낙제점을 받았기 때문이다. 육군사관학교에도 들어가지 못하고
포병학교에 갔는데 그것도 명문의 자제라는 특전 때문에 입학이 되었다고 한다.
훗날 옥스퍼드 대학의 졸업식에서 축사를 하게 되었는데, 첫 마디가
"포기하지 마라"( DONT GIVE UP )였다.
"절대 포기하지 마라. 절대 절대로 포기하지 마라. 크건 작건 ,
사소한 일이건 대단한 일이건 절대 포기하지 마라"
삶에도 시련과 고난이 또 있겠지만 절대 포기하지 않는 집념이 승리를 가져온다.
어느 땐 모든 것을 놓아버리고 싶은 순간이 수도 없이 많지 않던가?
누구나 알고 있는 에디슨이나 스티브잡스 등의 위인들도 실패와 고난의
연속이었고 많은 거절과 좌절의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우리도 무슨 일이던 절대 포기하지 말고 살아가야 한다.
위인들이 했던 것처럼 . . .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기란 (0) | 2021.07.05 |
---|---|
알프레드 테니슨, 참나무 The Oak (0) | 2021.06.30 |
모든 사람은 천재다 (0) | 2021.06.22 |
프라이스의 법칙 (0) | 2021.06.15 |
자원봉사 100시간의 법칙 (0) | 2021.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