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bCJR4c/btq3qgUUoe1/4ehwKeStnD1suSedlHLNU1/img.jpg)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반응을 예상할 때, 자기가 알고 있는 지식을 다른 사람도 알 것이라는 고정관념에 매몰되어 나타나는 인식의 왜곡(cognitive bias)을 의미한다.
교수들은 모른다! 신입생들이 겪는 새 지식 터득의 어려움을
지식의 저주의 비근한 예는 대학교 수업에서 찾아볼 수 있다. 많은 교수들은 고학년보다 저학년, 특히 1학년 신입생을 가르치는 수업에서 더 애를 먹는다.
이미 지식의 경지에 높이 오른 교수들로서는 새로운 지식을 터득하면서 겪는 어린 학생들의 어려움을 제대로 실감하기가 쉽지 않다. 마치 개구리가 올챙이 시절의 기억을 잊어버렸듯이.
오히려 교수들은 “이 정도야 충분히 알고 있겠지!”라고 전제한 채 수업을 진행하곤 한다. 이러한 상황은 이미 터득한 지식이 다른 사람과의 교감을 돕기보다는 도리어 정확한 사실 판단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는 양쪽 모두의 손해로 귀결된다. 학생들은 두말할 나위가 없고, 교수들도 박한 강의평가를 감수하게 된다.
내가 알면 남도 알 거라 생각하는 것이 바로 지식의 저주이다
1990년 미국 스탠퍼드 대학의 심리학 전공 대학원생이던 엘리자베스 뉴턴(Elizabeth Newton)은 간단한 실험을 통해 ‘지식의 저주’를 잘 보여 주었다.
뉴턴은 복수의 실험 참가자 표본을 구하고, 각 표본에 속한 사람들을 같은 수의 두 그룹(그룹 1과 그룹 2)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 표본의 그룹 1에 속한 피험자들에게만 당시 잘 알려져 있던 유행가를 들려주었다.
그다음 표본별로 그룹 1과 그룹 2에서 각각 1명씩을 선발해 짝을 지은 다음, 그룹 1의 피험자에게는 청취했던 유행가 리듬을 손가락으로 책상을 두드려 각각 자기 짝(그룹 2의 피험자)에게 처음부터 끝까지 들려주라고 시켰다.
이어서 짝(그룹 2의 피험자)에게는 노래 제목을 맞히라는 미션을 주었고, 손가락 리듬을 친 그룹 1의 피험자에게는 짝이 노래 제목을 맞힐 것인가를 판단하라고 주문했다.
이미지 갤러리 가기
결과는 놀랍게도 모든 표본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그룹 1의 피험자는 대부분 짝들(그룹 2의 피험자)이 노래 제목을 맞힐 것으로 예상했는데, 훨씬 적은 수의 짝들(그룹 2의 피험자)만이 노래 제목을 맞혔다.
즉, 손가락 리듬을 친 사람은 노래가 익숙한 나머지 듣는 사람이 무슨 노래인지를 쉽게 알아차릴 것이라고 잘못 추정했다는 것이다.
정보가 풍부한 경제주체는 더 많이 보유한 지식으로 인해 오히려 손해를 입을 수 있다
‘지식의 저주’라는 말은 1989년 캐머러(Colin Camerer), 로웬스타인(George Loewenstein), 웨버(Martin Weber) 등 3인의 경제학자들이 발표한 유명한 논문 〈The Curse of Knowledge in Economic Settings : An Experimental Analysis〉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미국의 경제학자 콜린 캐머러 ⓒJohn D. and Catherine T. MacArthur Foundation
이들은 ‘정보의 비대칭성(information asymmetry)’에 관한 기존 경제학 연구의 관행적 오류를 지적했다. 기존 연구는, 정보가 풍부한 경제주체와 정보가 부족한 경제주체가 거래할 때 전자가 우월적 지위를 갖기 때문에 유리하다는 관점을 유지해 왔다.
그런데 3인의 경제학자들은 정보가 풍부한 경제주체가 더 많은 지식 보유로 인해 역설적으로 손해를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3인의 경제학자들은 지식이 풍부한 전문가 집단이 일반 대중에게 판매하는 제품의 가격을 매기는 사례를 들어 그러한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예컨대, 영화배급사들은 상영에 앞서 영화전문가들로 하여금 미리 영화를 관람하도록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영화등급 및 배급가격을 결정한다고 한다.
영화전문가들은 예술성, 대중성, 상업성, 주인공의 지명도, 감독의 명성 등 다양한 기준에 기초해 영화등급을 매긴다. 그에 따라 어떤 영화는 A등급(高價)으로, 어떤 영화는 C등급(低價)으로 영화관에 배급해 일반 대중에게 상영한다.
그런데 결과적으로 보면 A등급 영화의 배급가격이 적정 수준에 비해 과대평가되고, 반대로 C등급 영화의 배급가격은 과소평가되었음이 드러나곤 한다.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퍼볼릭 디스카운트 (0) | 2021.05.04 |
---|---|
[원 클릭 시사] ‘껍데기 이론(Veneer theory)’ (0) | 2021.04.28 |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uerer)의 기도하는 손 (0) | 2021.04.25 |
낯선 사람 효과 (0) | 2021.04.21 |
6단계 분리 이론(six degrees of separation) (0) | 2021.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