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 & 코칭

아들러 열등감 콤플렉스

열등하다고 느끼는 것은 자신에게 고통스럽지만 기회로 삼으면 앞서 나갈 수 있는 힘이 된다.

열등감과 열등감 콤플렉스

개인에게 열등(inferiority)하다는 것은 일상에서 보통의 수준이나 기준보다 만족도 등 여러 면에서 부족하다고 느끼는 상태를 경험하고 있다는 뜻이다. 즉 열등하다는 것은 스트레스로 작용하지만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갖고 있다 .
우선
긍정적인 측면으로 개인이 열등하다는 것은 유기체의 적응을 위한 도전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반면에 부정적인 측면에서 열등하다고 느끼게 되면 이는 자신에게 있어 겪고 싶지 않은 고통이 될 것이다.

열등감(inferiority feeling)은 당면한 사건이나 상황에 대한 우리의 부정적인 평가다. 하지만 그러한 상황에 적응해야 한다. 만약 개인이 스스로를 지나치게 열등하다고 느끼고 삶의 도전을 회피하게 된다면 결국 그는 열등감 콤플렉스(inferiority complex)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이런 경우 당면한 사건이나 상황에 대한 적응이 어렵고 발전과 성장 가능성은 줄어들 것이다.
아들러는 이러한 열등감 콤플렉스에 대해서 3가지 원인을 설명했다.
그것은 기관열등감(organinferiority)과 과잉보호(spoiling), 그리고 양육태만(neglect)인데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열등감으로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자신의 신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다. 자신의 신체에 대한 콤플렉스가 생기면 열등감에 빠져 원망을 하게 된다.
둘째, 과잉보호로 부모의 자녀교육과 관련 있다. 아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지 않고 부모들이 먼저 나서서 모든 일을 해결해버리는 경우를 뜻한다. 과잉보호로 자란 아이는 인생의 어려운 고비에 부딪쳤을 때마다 쉽게 열등감에 빠져 자신은 대처할 능력이 없다고 믿어 극복하지 못한다.
셋째, 양육태만으로 부모가 자녀에게 최소한의 양육도 하지 않는 경우다. 양육태만으로 자란 아이들은 자신이 필요하지 않다고 느끼는 열등감 때문에 문제에 직면했을 때 회피나 도피를 하게 된다.
열등감 콤플렉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열등, 열등감, 그리고 열등감 콤플렉스를 비교하며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열등은 객관적으로 열등한 상태를 뜻한다. 아들러가 지적한 기관열등은 신체적 한계가 있음을 뜻한다. 한편 열등과 달리 열등감은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것으로 외무와 능력 면에서 열등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나타날 수 있다. 열등감 콤플렉스는 열등감을 은폐하기 위해서 신경증적인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경우다. 가령 의도적으로 자신이 대단히 중요한 사람이라는 것을 내세우고자 하는 사람은 자기 내면의 열등감을 감추고 싶어 하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열등감 콤플렉스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해결해야 할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적극적으로 대응해서 해결하기보다 주저하거나 회피하고 자신의 책임을 다하지 못할 때 나타난다. 다른 사람이나 환경에 책임을 전가시키고 알리바이를 만들고자 하는 자기 패배적인 행동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열등감을 지나치게 의식하고 그것을 과잉보상하려고 하는 경우 역시 마찬가지로 열등감 콤플렉스에 해당된다.

열등감으로 인한 긍정적 결과

아들러는 열등감과 열등감 콤플렉스가 부정적인 결과만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이를 극복하는 긍정적인 과정까지 설명했다. 즉 자신이 원하는 자기완성을 이루기 위해 자신이 느끼는 열등감을 극복해야 한다는 뜻이다. 아들러는 자기완성을 위한 필수요인으로 열등감을 제시함으로써 열등감을 긍정적인 측면에서 설명했다. 또한사람들이 열등감을 느끼는 것을 정상적인 현상이라고 덧붙였다. 열등감을 극복하고 우월성을 성취하며 완전에 도달하고자 한다는 의미에서 개인에게 열등감은 진보적 발전의 원동력이다. 아들러는 열등감 자체는 부정적이거나 나쁜 것이 아니며 열등감을 극복하고 보상함으로써 자기성장과 발전의 기회로 삼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기관열등감을 극복하고 자신의 삶에 충실함으로써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인물이 있다. 바로 영국의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 박사다. 그는 22세에 루게릭병이라는 전신마비 진단을받았다. 그전까지 활동적이고 사교적이었으며 물리학에서도 군계일학의 실력을 과시하고 있었던 그에게는 충격적인 일이었다. 그러나 호킹 박사는 이를 잘 이겨냈다. 오히려 몸의 거동이 불편하니까 따로 할 일이 없어서 물리학에 대한 생각을 더 많이 할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위기를 기회로 만든 인물이었다. 호킹 박
사는 뉴턴과 아인슈타인의 뒤를 잇는 물리학자로 추앙받고 있으며 여전히 활동하고 있다.
개인이 열등감을 극복하고 완성에 도달하기 위해 우월성 추구를 하면 건설적인 생활양식을 갖게 되어 심리적 건강을 달성할 수있다. 이러한 사람은 자신의 부족한 점을 인정하고 한계를 극복하려는 의지와 노력을 통해 자기완성을 이루고자 할 것이다. 즉 심리적 건강을 위해 우리가 열등감을 이해하고 다룰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상담 & 코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존주의 상담  (0) 2019.03.17
로고테라피(Logo Therapy)  (0) 2019.03.16
프로이트와 아들러  (0) 2019.03.16
아론 베의 인지치료  (0) 2019.03.16
반두라 사회학습이론  (0) 2019.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