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HIhVB/btqE7nJgXL3/IXCa842FFqkEPWiydUWVd1/img.jpg)
정신역동모델의 기본 가정
1. 심리결정론 : 인간의 모든 정신행동은 목적이 있으며 과거 발달과정의 경험에 따라 결정된다는 관점.
2. 무의식을 가정
3. 생애 초기의 경험을 중시
정신역동이론
프로이드의 정신 분석이론
인간은 무의식에 지배되는 수동적, 불변적 존재이고 결정론적이고 투쟁적인 인간이다.
지형학적 모형 ( 의식, 전의식, 무의식), 구조적 모형 (원초아, 자아, 초자아), 방어기제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인간은 능동적 존재이고 자아를 통해 사고, 감정, 행동을 조절할 수 있는 합리적인 존재이다.
심리사회적 위기, 자아정체감, 점성원리, 심리사회족 유예, 결정적 시기
아들러의 개임심리이론
인간은 성장지향적 동기를 지닌 주관적인 존재이고 총체적, 사회적, 목표지향적인 인간이다.
특별한 발달 단계는 없고 가족상황과 사회적 요인을 중시함
열등감과 보상, 우월성 추구, 생활양식, 사회적 관심, 창조적 자기, 가상적 목표
융의 분석심리이론
인간은 자기실현을 위해 앞으로 나가고자 하는 성장지향적이고 가변적인 존재
발달단계 중 중년기를 강조
자아, 자기, 원형, 페르소나, 아니마와 아니무스, 음영, 개성화, 콤플렉스
자아는 의식과 무의식을 결합시키는 원형적인 심상이다.
아동기보다 성인기의 발달에 더 관심을 둠
개입목표
클라이언트가 과거의 경험에서 갖게된 불안한 감정이나 무의식적인 갈등을 의식화하여 이러한 것들이 어떻게 현재 자신의 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통찰하도록 돕는것
클아이언트가 자신을 좀 더 잘 이해하도록 통찰을 획득하도록 돕는것
개입방법
전이의 해석
클라이언트가 보이는 전이의 행동과 정서적 반응을 분석하고 해석하여 자신의 기본적인 반응형태를 통하여 스스로를 통찰해 볼 수 있도록 돕고 새로운 반응형태를 모색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자유연상
클라이언트의 마음속에 떠오르는것을 자유롭게 말하게 하는 개입기술
훈습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높여 경험적 확신을 갖도록 클라이언트에게 반복적으로 설명해주고 분석하는 기법
꿈의 분석
무의식적인 소망, 욕구, 두려움을 해석함으로써 무의식적으로 억압했던 것들을 풀어내는 기법
직면
클라이언트의 말과 행위 사이의 불일치 , 모순, 회피 등을 클라이언트 자신이 주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
특징
심리적 결정론에 근거
발달단계상의 고착과 퇴행을 고려한다.
성장의지가 높은 클라이언트에게 효과적이다.
원초아와 초자아 사이의 갈등 해소를 위해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현재의 문제를 과거의 경험에서 찾는다.
클라이언트의 통찰력 향상을 위해서 상담자의 직관에 의해 설명한다.
'상담 & 코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성 인격 장애 (0) | 2020.06.26 |
---|---|
지남력 주의력 기억력 (0) | 2020.06.25 |
뮌 하우젠 증후군 (0) | 2020.06.20 |
라캉 상징계 실재계 상상계 (0) | 2020.06.20 |
경계선인격장애, 자기애적 인격장애, 히스테리성 인격장애 (0) | 2020.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