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노산

인체를 구성하는 단백질은 약 20종의 아미노산으로 만들어져 있다. 그 20여종의 아미노산에는 사람이 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외부로부터 식품의 형태로 섭취하지 않으면 안 되는 필수 아미노산과 체내에서 합성할 수 있는 가결(可決) 아미노산이 있다.
필수 아미노산은 갓난 애기 때에는 10종이며 성인에 있어서는 8종으로 되어있다. 그것은 라이신(Lysin), 메티오닌(Mentioning), 트렙토판(Tryptophan),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트레오닌(Threonine), 유신(Leucon). 아이소류신(IsoIeucin), 발린(Vain), 그리고 히스티딘(Histidine)과 알기닌(Arginin)등이다.
단백질은 소화과정에서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로 분해되고, 다시 펩타이드(Peptide)로 분해 된 후에 최종적으로 아미노산으로 까지 분해되어 흡수된다.
이렇게 흡수된 아미노산을 원료로 인체의 필요한 체단백(體蛋白)을 합성하게 되는데, 식물이나 다른 동물의 단백질 100g 으로 만들 수 있는 체단백의 량을 단백가(蛋白價)라고 한다. 이 프로딘 스코어(Protein score)가 높을수록 양질의 단백질이라고 한다. 식물성 단백질은 대체로 동물성 단백질보다 단백가가 낮은 편이다.
그러므로 필수 아미노산이 골고루 들어있고 단백가가 높은 것일수록 양질의 단백질인 것이다. 만약 필수 아미노산이 결여되어도 그 가치는 떨어진다.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연도태(Kin Selection) (0) | 2022.09.09 |
---|---|
공사 직접비, 간접비 (0) | 2022.09.08 |
[곽노필 기자의 미래창] 인간이 야생 포유류 83%·식물 절반 파괴 (0) | 2022.09.05 |
생물지구화학적순환(Biogeochemical cycle) (0) | 2022.09.05 |
바이오매스 (0) | 2022.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