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인 나심 탈레브는 과거에 들은 잘못된 이야기가 우리의 세계관과 미래에 대한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네러티브 오류(narrative fallacy)'라는 개념을 소개 했는데 네러티브 오류는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려고
부단히 노력할 때 불가피하게 생기며 사람들이 매력적으로 여기는 설명적 이야기들(explanatory stories)은 단순하고, 추상적이라기보다는 구체적이며, 운보다는 재능과 우둔함과 의도를 중시하며, 일어나지 못한 무수한 사건보다는
일어난 몇 가지 놀라운 사건에 주목한다. 최근 일어난 모든 중요한 사건은 인과관계를 갖춘 네러티버의 핵심이 될 후보가 된다.
인간은 조잡한 과거의 이야기를 만들어 놓고 그것들이 사실이라고 믿는 식으로 계속 자신을 기만하고 있다고 탈레브는 주장했다.
좋은 이야기는 인간의 행동과 의도를 단순하고 정합적으로 설명한다.
당신은 항상 다른 사람의 행동을 그들의 일반적 성향과 개인별 특성(결과를 쉽게 맞출 수 있는 원인들)을 드러내주는 것으로 해석할 준비가 되어 있다.
후광효과는 정합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인간은 개인의 중요한 한 가지 특성의 판단을 기준으로 개인의 모든 다른 특성까지
판단해 버리기 때문이다. 일례로 어떤 투수가 잘생기고 운동을 잘한다고 생각하면, 우리는 당연히 그가 공도 매우 잘 던진다고
판단하려는 경향을 강하게 보인다. 그와 반대로 후광이 부정적일 수도 있다. '저 야구선수는 못 생겼군'이라고 생각하면
그의 운동 능력을 실제보다 평가절하 할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후광효과는 평가의 일관성을 과장시켜서 설명적 네러티브를 단순하고 정합적으로 만든다. '착한 사람은 좋은 일만 하고, 못된 사람은 나쁜 일만 한다'는 식이다.
-생각에 관한 생각 중에서-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톱니효과(Ratchet effect) (1) | 2022.10.14 |
---|---|
멱 법칙-성공의 법칙 (1) | 2022.09.23 |
베르누이의 오류 (0) | 2022.09.07 |
럼스펠드 MECE (0) | 2022.09.01 |
BATNA & ZOPA (0) | 2022.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