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남성과 여성의 눈물이 다른 이유


By KATHERINE ROSMAN


You first feel your bottom lip tremble as your work is critiqued in a meeting. Or maybe it's a clenching of your jaw. Or perhaps there is no warning at all. One moment you're composed and the next … waterworks.

We can alter the shapes of our bodies, slow the signs of aging and learn to control our heart rates. Yet we're often powerless when it comes to crying.

Some new research efforts are helping to piece together the biological and cultural forces behind crying, showing that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tears as well as differences in the way men and women cry.

Women are biologically wired to shed tears more than men. Under a microscope, cells of female tear glands look different than men's. Also, the male tear duct is larger than the female's, so if a man and a woman both tear up, the woman's tears will spill onto her cheeks quicker. "For men and their ducts, it'd be like having a big fat pipe to drain in a rainstorm," says Louann Brizendine, a neuropsychiatrist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ocial conditioning comes into play in restraining the impulse to cry, Dr. Brizendine says. When we experience physical pain or emotional sadness or frustration, the brain's amygdala, which is part of the limbic system or "emotional brain," fires up signals. If the stimulus is great enough, the energy can travel from the emotional area into the frontal motor strip. That's when breathing can devolve into sobbing.

Boys often come up with mechanisms to calm themselves before they cross the precipice from tearing up to weeping. "Boys are taught over and over again not to cry: to scrunch their faces, to think about the Gettysburg address, to distract themselves," says Dr. Brizendine, the author of the best-selling book, "The Female Brain."

Research indicates that testosterone helps raise the threshold between emotional stimulus and the shedding of tears. "It helps put the brakes on," she says.

To teach acting students to cry at the New York Film Academy, Glenn Kalison reminds them to consider that since they were babies, they have been building barriers to prevent themselves from crying. The trick is to imagine a character's pain and sadness, and then to connect with the barriers that character would have built, he explains. The realistic way to portray crying isn't to let tears flow, but to show the struggle not to cry.

"It's the attempt at suppressing the crying that is the familiar sensation," says Mr. Kalison, chairman of the academy's acting for film department. "Only actors want to cry."

Sylke Freeke, 22, an acting student at the New York Film Academy Brian Harkin for the Wall Street Journal

Sylke Freeke brings herself to tears - whereas many people work to suppress them. Brian Harkin for the Wall Street Journal

Studying tears and the process of crying is complex. There are two types of tears. Irritant tears help wash eyes of dust, dirt and impurities. Emotional tears are created and released in response to emotional stimulus and physical pain. All tears contain proteins, salt and hormones, among other substances, but emotional tears have higher levels of protein, says William H. Frey II, a neuroscientist and biochemist at Regions Hospital in St. Paul, Minn., who conducted research into the composition of tears.

One hormone in tears is prolactin, a lactation catalyst. Just as it helps to produce milk, prolactin also aids in tear production. By the time women reach 18, they have 50% to 60% higher levels of prolactin in their bloodstream than men do. "We believe this is one of the reasons that women cry more easily," Dr. Frey says.

Much remains unknown. Human beings are the only species that cries emotional tears, making it difficult to study the internal mechanics of tear glands. It is also not that easy to stimulate crying in a controlled research environment. Ad Vingerhoets, a professor of clinical psychology who focuses on stress and emotion at Tilburg University in the Netherlands, says that to elicit tears, he shows research participants photographs of people in various states of crisis to try to elicit tears of empathy. He also shows tear jerkers, like the 1979 movie "The Champ."

"We do not poke people in the eye," Dr. Vingerhoets says. "We use onions." Test tubes and vials are held to people's cheeks to collect the tears.

Researchers have a hard time getting accurate data because if people feel ashamed of crying, it can affect what they tell researchers. In recent studies conducted by Dr. Vingerhoets in conjunction with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South Florida, participants recorded in their diaries at the moment they cried that the episode didn't make them feel better. Yet when asked to reflect on the crying episodes later, other subjects said in retrospect that they felt better afterward. The researchers wonder if there is an initial sense of shame that comes with crying.

"We also think men are underreporting their crying," says Lauren Bylsma, a doctoral candidate who worked on the project.

The emotional benefits are hard to study too. "Science is hard when dealing with emotion," says Dr. Frey. "It is difficult to define feelings or emotion or to measure their intensity in a way that everyone agrees with."

Some scientists wonder if crying even delivers emotional relief or if tears happen to come at the same time that our bodies have processed emotional strain. They signal that we're starting to feel better but don't necessarily hasten the process.

All sorts of cultural influences determine who cries and the frequency. For her new book, "It's Always Personal," Anne Kreamer teamed with ad agency J. Walter Thompson to survey 1,200 working Americans. She found that age and gender play a role in freeness in crying: Women under 45 are 10 times as likely to cry at work as men 45 and older.

Dr. Vingerhoets conducted a project in 37 countries to compare the different rates of crying among men and women. Women in developed Western economies cry much more than men, and much more than women in societies where women have fewer rights, he says. As men age, they cry more—often provoked by altruism, camaraderie and issues of morality, Dr. Vingerhoets hypothesizes.

"When males get older," he says, "their testosterone levels decrease."

The male reluctance to shed tears is relatively new, says Tom Lutz, a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professor. He traces this to the late 19th century, when factory workers—mostly men—were discouraged from indulging in emotion lest it interfere with their productivity.

Iconic historical and cultural depictions of men crying—in the Bible, Jesus wept at the death of Lazarus, for instance—have been overcome by more recent dictates discouraging men from crying. Biologically, and in the context of centuries and millennia, "male tears are the norm and males not crying is recent historical aberration," he says.

Last month, at a launch party for his newest project, the Los Angeles Review of Books, Mr. Lutz toasted the staff and felt himself getting emotional. Years ago, his father taught him to squeeze the tear ducts at the corners of his eyes with his thumb and forefinger. But the method failed. "I got weepy," Mr. Lutz says. "I couldn't stop it."



상사한테 야단을 맞았을 때 아랫입술이 떨리기 시작하는 것을 느낀다. 이가 악물어질 수도 있고 아무런 경고 없이 시작될 수도 있다. 한순간만 해도 괜찮았는데 갑자기 눈물이 봇물처럼 터져 나오는 것이다.

우리는 체형을 바꿀 수 있고 노화의 신호를 늦출 수도 있으며 심장박동을 조절하는 법을 배울 수도 있지만, 울음에 관해서는 무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울음 뒤에 숨어있는 문화적 생물학적 요소를 밝혀내기 시작한 몇몇 새로운 연구는 눈물에도 종류가 있다는 사실과 남성과 여성이 우는 방식이 다르다는 것을 보인다.

생물학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많은 눈물을 흘리도록 되어있다.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여성의 눈물샘은 남성의 눈물샘과 다르다. 또한 남성의 누관(눈물길)은 여성의 누관보다 크기 때문에 남성과 여성이 같이 눈물을 흘리더라도 여성의 눈물이 뺨에 더 빨리 흘러내린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캠퍼스의 신경심리학자인 로앤 브리젠딘은 “남성의 눈물길은 폭우도 배수할 수 있는 두꺼운 관이라고 할 수 있다”라고 말한다.

브리젠딘 박사에 따르면 사회적 조건이 울음을 참는 데 관여한다고 한다. 신체적 고통이나 슬픔, 좌절감을 경험할 때 대뇌변연계(“감정적 뇌”)의 일부인 편도체가 신호를 보내기 시작한다. 만약 자극이 충분히 크다면 편도체에서 전두엽의 운동영역까지 에너지가 도달해서 호흡이 흐느낌으로 변한다.

남자아이들의 경우 눈물에서 흐느낌으로 넘어가기 전에 스스로를 진정시키는 메커니즘을 개발해 내는 경우가 많다. 베스트셀러 “여자의 뇌, 여자의 발견”의 저자 브리젠딘 박사는 말한다. “소년들의 경우 울지 않기 위해서 얼굴을 찡그리거나 진지한 것에 대해 생각해서 주의를 돌리라는 교육을 반복해서 받는다.”

테스토스테론이 감정자극과 눈물 사이의 벽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도 있다. “테스토스테론은 브레이크를 밟는 데 도움이 된다”라고 브린젠딘 박사는 말한다.

뉴욕필름아카데미에서 배우지망생들에게 우는 법을 가르치기 위해서 글렌 칼리슨은 사람들이 아기 때부터 울지 않도록 벽을 쌓아 온다는 사실을 주지시킨다. 중요한 점은 등장인물의 고통과 슬픔을 상상한 다음에 등장인물이 쌓아온 벽과 연결시키는 것이라고 칼리슨은 말한다. 울음을 연기하는 현실적인 방법은 눈물을 흘리는 것이 아니라 울음을 참으려고 애쓰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영화연기부서 회장인 칼리슨은 말한다. “울음을 참으려고 하는 노력이야말로 사람들에게 익숙한 감정이다. 실제로 울고 싶어하는 사람은 배우밖에 없다.”

눈물과 울음의 과정 연구는 복잡한 작업이다. 눈물에는 두 종류가 있다. 반사성눈물은 눈이 먼지나 오물, 이물질을 씻어내는 것을 돕는다. 감정성눈물은 감정적 자극과 신체적 고통에 대한 반응으로 생성되고 분출된다. 모든 눈물에는 단백질과 염분, 호르몬 등이 포함되어 있으나, 감정성눈물의 단백질함량이 높다고 윌리엄 프레이 박사는 말한다. 미네소타 레기온병원의 신경과학자이자 생물화학자인 프레이박사는 눈물의 구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눈물에 들어 있는 호르몬 중 하나는 분비촉진제인 프로락틴이다. 모유분비를 돕는 프로락틴은 눈물생성에도 관여한다. 18세가 될 무렵 여성의 혈중 프로락틴 농도는 남성에 비해 50%에서 60% 가량 높아진다. “우리는 여성이 더 잘 우는 이유 중 하나가 프로락틴이라고 생각한다”고 프레이 박사는 말한다.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이 더 많다. 감정성눈물을 흘리는 종은 인간뿐이기 때문에 눈물샘의 내부기제를 연구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통제된 실험환경에서 울음 모의실험을 하는 일도 쉽지 않다. 네덜란드 틸버그대학 임상심리학 교수인 에드 빈저호트는 스트레스와 감정에 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하고 있다. 그는 공감의 눈물을 유도하기 위해 실험참가자들에게 다양한 위기상황이나 1979년 영화 “챔프”와 같은 슬픈 영화를 보여준다.

빈저호트 교수는 말한다. “우리는 실험참가자 눈을 찌르거나 하지는 않고 양파를 사용한다.” 실험관과 유리병을 볼에 대어 이렇게 흘려진 눈물을 모은다.

실험참가자들이 운다는 사실에 수치심을 느끼면 답변에 영향을 미칠 수가 있기 때문에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어렵다. 최근 빈저호트 교수가 사우스플로리다 대학 연구자들과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실험참가자들은 울었음에도 기분이 나아지지 않았던 경험에 대해 일지를 적었다. 하지만 나중에 그 경험에 대해 질문하자 참가자들은 운 다음에 기분이 좋아졌다고 회상했다. 연구자들은 울음과 함께 촉발되는 초기적 수치심이 있는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박사과정 학생 로렌 빌스마는 “우리는 또한 남성들이 자신의 울음에 대해 실제보다 줄여서 보고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한다.

Brian Harkin for the Wall Street Journal
Sylke Freeke, 22, an acting student at the New York Film Academy

울음이 감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도 조사하기 어렵다. 프레이 박사는 말한다. “감정이 주제일 때 과학은 어려움을 겪는다. 느낌이나 감정은 정의하기도 어려울 뿐더러 모든 사람이 동의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감정의 강도를 측정하는 것도 힘들기 때문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울음이 과연 감정적 안도감을 가져오는지 아니면 인체가 감정적 긴장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눈물이 우연히 동시에 나오는 것인지에 대해 의문을 갖고 있다. 울면서 기분이 나아지기 시작하더라도 긴장 처리과정이 꼭 빨라지는 것은 아니라고 과학자들은 이야기한다.

Brian Harkin for the Wall Street Journal
Sylke Freeke brings herself to tears – whereas many people work to suppress them

각종 문화적 영향은 누가 우는지, 얼마나 자주 우는지를 결정한다. 신간 “언제나 개인적인 것이야”를 출간한 앤 크리머는 제이월터톰슨 광고회사와 손을 잡고 1,200명의 미국 직장인을 조사했다. 크리머는 울음에 나이와 성별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45세 미만의 여성이 직장에서 울음을 터트릴 확률은 45세 이상의 남성보다 10배나 높았다.

빈저호트 교수는 남성과 여성의 울음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37개 국가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서구 선진국 여성은 남성보다 매우 자주 울며 여성권리가 제한된 국가의 여성들보다도 훨씬 많이 운다고 빈저호트 교수는 말한다. 남성들은 나이가 들면서 더 많이 우는 경향을 보인다. 빈저호트 교수는 이타주의와 동지애, 도덕성 등의 영향일 것이라는 가설을 내놓았다.

또한 “남성이 나이를 먹으면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감소한다”라고 교수는 말한다.

캘리포니아 대학 리버사이드 캠퍼스의 탐 러츠 교수는 남성이 울지 않으려고 하는 경향은 상대적으로 최근인19세기 말에 시작된 현상이라고 말한다. 당시 대부분 남성이었던 공장근로자들의 생산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감정에 휘말리지 못하게 했다는 것이다.

문화적 역사적으로 상징적인 남성의 우는 모습—예를 들어 성경에서 예수는 라자로가 죽었을 흐느낀다—은 남성이 울어서는 안된다는 최근의 경향에 가려졌다. 생물학적으로 그리고 수백 년이나 수 천 년의 역사적 맥락에서 “남성의 눈물은 일반적인 것이며 남성이 울지 않는 것은 최근에 일어난 역사적 이탈이다”라고 러츠 교수는 말한다.

지난 달 새로운 프로젝트 LA북리뷰 창설을 축하하는 자리에서 러츠 교수는 직원들을 치하하면서 감정이 복받치는 것을 느꼈다. 수년 전 그의 아버지는 울지 않으려면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눈가에 있는 누관을 쥐어짜라고 말했지만 효과가 없었다. 러츠 교수는 말한다. “흐느꼈기 시작했고 멈출 수 없었다.”